하드웨어
기본
CPU = 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
GPU = Graphics Processing Unit: 그래픽 연산 장치
APU = Accelerated Processing Unit: AMD에서 사용하는 개념, GPU 내장 CPU
RAM = Random Access Memory: 램, 메인메모리, 주기억장치
HDD = Hard Disk Drive: 하드디스크
SSD = Solid State Drive: 고형 보조기억장치
ODD = Optical Disc Drive: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 (CD/DVD 베이)
MB = Mother Board / Main Board: 마더보드 / 메인보드
AP = Application Procesor: 스마트폰의 중앙처리장치로, CPU+GPU+RAM 등을 통합한 형태
Soc = System On Chip: 칩 하나에 디바이스 구동을 위한 모든 기능을 탑재한 것
저장장치
SD = Secure Digital: 흔히 말하는 그 SD카드.
TF = TransFlash: microSD카드랑 같다. 지금은 사용하지 않는 이름.
CF = CompactFlash: 샌디스크의 메모리카드 규격. 고급형 카메라에도 종종 쓰인다.
CD = Compact Disc: 그 CD. 용량은 약 700MB
DVD = Digital Versatile Disc: 그 DVD. 약 4.7GB용량
BD = Blu-ray Disc: 블루레이 디스크. 용량이 훨씬 크다. (최소 25GB)
eMMC = Embedded Multi Media Card: 과거, 혹은 저가형 휴대폰이나 노트북에 탑재된 저장공간
UFS = Universal Flash Storage: 요즘 휴대폰에 탑재되는 플래시 메모리. 갤럭시 북 시리즈는 외장 UFS카드를 지원한다.
XQD: 메모리 카드 규격. 니콘 Z 6/Z 7등에 탑재되었다.
MBR = Master Boot Record: 구형 하드디스크 방식. BIOS 및 CSM에서 사용 가능
GPT = GUID Partition Table: 신형 하드디스크 방식. UEFI에서 사용 가능
인터페이스
DDR SDRAM =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USB = Universal Serial Bus: 범용 직렬 버스, 흔히 말하는 그 USB
USB OTG = USB On The Go: 호스트 기기 없이 디바이스 간의 전송 규격
USB-PD = USB Power Delivery: USB를 통한 충전 규격 (최대 100W)
PPS = Programmable Power Supply: USB-PD 3.0부터 지원, 전압/전류를 유동적으로 조절하는 기술
IDE = Integrated Drive Electronics: 구형 PC의 HDD, ODD 연결 인터페이스 (=PATA)
ATA = Advanced Technology Attachment: HDD, ODD 연결 인터페이스 (=IDE)
SATA = Serial ATA: 현대 PC의 HDD, SSD 연결 인터페이스
eSATA = External SATA: 외장 SATA
SCSI =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스카시, 서버용 연결 규격
SAS = Serial Attached SCSI: SCSI의 진화판
PCI =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Bus: 구형 PC의 주변기기 확장 슬롯 규격
PCIe = PCI Express: PCI의 후속으로, 현대 PC의 주변기기 확장 슬롯 규격
NVMe = Non-Volatile Memory Express: 고성능 SSD를 위한 규격
M.2: mPCIe, mSATA를 대체하는 커넥터 규격 (SATA & PCIe 등 호환)
VGA = Video Graphics Array: 그래픽카드의 표준 방식. DE-15(D-sub) 단자의 다른 이름
DVI = Digital Visual Interface: 구형 디스플레이 연결 규격
HDMI =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고선명 멀티미디어 인터페이스.
용량
(비트 = 0, 1을 표현할 수 있는 최소 단위 | Byte 바이트 = 8비트)
kB = kilobyte: 킬로바이트, 1kB = 1000 바이트
MB = megabyte: 메가바이트, 1MB = 1000KB
GB = gigabyte: 기가바이트, 1GB = 1000MB
TB = terabyte: 테라바이트, 1TB = 1000GB
PB = petabyte: 페타바이트, 1PB = 1000TB
KiB = kibibyte: 키비바이트, 1KiB = 1024바이트
MiB = mibibyte: 미비바이트, 1MiB = 1024KiB
GiB = gibibyte: 기비바이트, 1GiB = 1024MiB
TiB = tebibyte: 테비바이트, 1TiB = 1024GiB
PiB = pebibyte: 페비바이트, 1PiB = 1024TiB
파일시스템
FAT = File Allocation Table: 파일 할당 테이블, DOS 시절부터 사용해온 포맷. USB에 쓰임
exFAT = Extended FAT: FAT64라고도 부르며 고용량의 USB 등을 포맷할 때 사용함
NTFS = New Technology File System: 현대 Windows의 메인 파일시스템
ReFS = Resilient File System: 차세대 Windows에서 사용할 최신 파일 시스템(불오나전)
ext4 = EXTended file system 4: 현대 리눅스의 파일 시스템
BtrFS = B-Tree File System: Copy-on-Write를 포함한 차세대 파일시스템
HFS/HFS+ = Hierarchical File System: Apple의 Mac OS용 구형 파일 시스템
APFS = APple File System: Apple의 최신 파일 시스템
디스플레이
CRT = Cathode-Ray Tube: 음극선 관. 과거 모니터/텔레비전 방식
LCD = 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 CRT 이후 현대의 모니터
TFT-LCD = Thin Film Transistor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표시장치
TN = Twisted Nematic: LCD중 저렴하고 낮은 색재현률의 디스플레이 종류
IPS = In-Plane Switching: LCD중 시야각이 높고 화질이 좋은 디스플레이 종류
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유기 발광 다이오드
mLED = Micro LED: 마이크로 LED, 번인 없음.
AMOLED = Active-Matrix OLED: 능동-행렬 유기 발광 다이오드, 최근 스마트폰에 많이 사용된다.
QLED = Quantum dot LED: 양자점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아직 상용화되지 않았다.
QD-LCD = Quantum Dot LCD: LCD에 양자점을 입힌 것. 삼성이 QLED라고 부르는 것의 실체.
해상도
SD = Standard Definition: 디지털 방송 규격(480p, 720x480)
HD = High Definition: 고화질 디지털 방송 영상 규격 (720p~1080p, 1280x720, 1920x1080)
FHD = Full HD: HD중 높은 해상도, 현재 대부분의 노트북에서 사용 (1080p, 1920x1080)
QHD = Quad HD: WQHD라고도 불리며, 플래그십 스마트폰의 해상도 (1440p, 2560x1440)
UHD = Ultra High Definition: 초고해상도 (2160p, 3840x2160, 4K)
FUHD = Full UHD: 초고해상도중 높은 해상도 (4320p, 7680x4320, 8K)
4K UHD: 4K 표준 (2160p, 4096x2160)
8K UHD: 8K 표준 (4320p, 8192x4320)
SDR = Standard Dynamic Range: 표준 다이나믹 레인지
HDR = High Dynamic Range: 높은 다이나믹 레인지. 더 풍부한 색상 표현이 가능하다.
PPI = Pixel Per Inch: 픽셀 밀도, PPI가 높을수록 선명하다.
소프트웨어
OS = Operating System: 운영체제
DOS = Disk Operating System: 흔히 그 우리가 아는 MS-DOS. 도스이다.
UI = User Interface: 사용자 인터페이스
GUI = Graphical User Interface: 현재 대부분의 운영체제에서 사용하는 UI
CUI = Console User Interface: 도스 시절 UI
BIOS = Basic Input Output System: 기본 입출력 시스템
BSoD = Blue Screen of Death: Windows의 블루스크린
AV = Anti Virus: 안티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
네트워크
LAN =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WAN = 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
NAS = Network Attached Storage: 흔히 부르는 그 NAS 스토리지
SMB = Server Message Block: 파일, 프린터, 메시지 공유 프로토콜
CIFS = Common Internet File System: 위의 SMB의 다른 이름
TCP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
IP = Internet Protocol: 인터넷 프로토콜
IPv6 = Internet Protocol version 6: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 (우리나라는 아직 도입 X)
DNS = Domain Name System: IP주소와 도메인을 연결해주는 역할
DoS = Denial of Service: 서비스 거부 공격
DDOS =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attack: 분산 서비스 거부 공격
MAC = Medium/Media Access Control: 매체 접근 제어 (MAC 주소의 MAC)
P2P = Peer to Peer: 서버 없이 클라이언트끼리 직접 통신하는 방식
TLS = Transport Layer Security: SSL(Secure Sockets Layer)에 기반한 보안 프로토콜
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페이지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UWB = Ultra Wide Band: 울트라 와이드 밴드
WWW = World Wide Web: 월드 와이드 웹
VoIP
VoLTE
'IT & 전자기기 > 소프트웨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11 라이젠 성능저하 이슈: 이제 패치 끝 (0) | 2021.10.27 |
---|---|
Windows 11 정식출시, 업그레이드는 어떻게? (0) | 2021.10.13 |
[Windows 11] 이제 더 이상의 블루스크린은 없다! 그런데...? (0) | 2021.09.27 |
Windows 11 설치 & 사용기: 예전으론 못 돌아가겠다 (4) | 2021.07.29 |
아치 리눅스로 돌아가다 (7): 리눅스에서 윈도우 구동하기, VirtualBox 버추얼박스 설정 (2) | 2020.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