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학 탐구 프로젝트 #2: 언어의 소리와 음운론
환영합니다, Rolling Ress의 카루입니다. 언어의 소리 언어에는 몇 가지 보편적인 특징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소리이다. 조음 위치에 대해 알아보겠다. 사실 국어문법 정리하면서 한 번 했는데, 국어에는 없는 소리가 있기에. 양순음: 입술 소리. p, b, m과 같은 소리이다. (ㅂ, ㅁ) 순치음: 우리 말엔 없다. 입술을 살짝 깨물면서 내는 소리이다. f, v 치음: 역시 우리 말엔 없다. 영어의 th 발음이 여기에 해당한다. 치경음: 아마 이게 치조음일 것이다. 잇몸소리. t, d, n, s, z, l, r (ㅌ, ㄷ, ㄴ, ㄹ) 치경구개음: 경구개음. ㅈ, ㅊ, ch, sh 등의 소리 구개음: '히'에서 'ㅎ'의 발음이다. 독일어의 경우 ch발음. 연구개음: ㄱ, ㅋ, k, g의 발음이다..
2022. 3. 11.
[언어와 매체/국어문법] 형태소의 개념과 단어에 대해
환영합니다, Rolling Ress의 카루입니다. 말의 뜻을 구별해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가 음운이라면, 일정한 뜻(문법적/실질적)을 가진 최소 단위는 형태소라고 한다. 여기서 더 빠개면 뜻이 사라진다. 한국어를 적절히 빠갤 때, 형태소보다 잘게 나누면 뜻을 잃게 된다. 형태소는 자립성의 유무에 따라 혼자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와 다른 말과 함께 쓰이는 의존 형태소로 나뉘며, 의미에 따라선 실질적 의미를 갖고 있는 실질 형태소와 문법적 의미만을 갖는 형식 형태소로 나뉜다. 자립형태소 -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의존형태소 - 조사, 어간, 어미, 접사 실질형태소 - 자립형태소 + 어간 형식형태소 - 조사, 어미, 접사 의존형태소는 대부분 형식 형태소이나, 용언의 어간의 ..
2022. 3.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