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학교108

썸네일 [사탐방/데이터사이언스] 3. 정규분포곡선의 표준화 (feat. 미적분) 환영합니다, Rolling Ress의 카루입니다. ​ 사실 3~8반은 문제 될 게 없어요. 거긴 다 확통이니까. 근데 1반은 미적+사탐방이 꽤 있죠. 사실... 정규분포 곡선 나오는 게 확통에서 나오는 거라 이거 모르면 좀 애를 먹겠더라고요. 그래서, 간단하게나마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 확통을 배우는 게 아니니까, 설명은 미적분을 중심으로 해볼게요. ​ 이 글은 미적분 & 사회탐구방법 수강생들을 위한 글입니다. 확통 하시는 분들은 아마 다 아는 내용일 거예요. ​ 정규분포곡선은 이런 식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 여기서 μ는 평균, σ는 표준편차를 뜻합니다. 표준편차는 중학교 때 산포도 배웠으니 아마 알고 계시리라 믿습니다. 자료가 퍼진 정도, 정규분포곡선에서는 그래프가 퍼진 정도를 결정합니다. 평균은 아.. 2022. 4. 20.
썸네일 [사탐방/데이터사이언스] 2. 표본과 가설검정, p-value와 정규분포 환영합니다, Rolling Ress의 카루입니다. ​ 전수조사는 정확합니다. 그러나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죠. 단적인 예로, 여론조사 하자고 우리나라 국민 전부를 조사할 수는 없는 일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국민들을 **무작위 추출하여 표본을 만들고, 이 표본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국민 전체(모집단)에 적용하고자 합니다. ​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무작위 추출만 알고 있어도 됩니다. 표본을 추출하는 방법은 많은데, 알 필요는 없어요. ​ 중심 극한의 정리에 의해, 모집단의 분포와 상관 없이 표본 평균은 정규 분포를 이룹니다. 모집단의 분포에 상관 없이, 표본평균의 분포가 정규분포로 수렴하므로 z값을 통해 확률을 구할 수 있는 거죠. 이걸로 네이만-피어슨 가설 검정을 할 수 있게 됩니다. ​ 상자에 귤.. 2022. 4. 19.
썸네일 [사탐방/데이터사이언스] 1. 정규분포곡선의 의미와 해석 환영합니다, Rolling Ress의 카루입니다. ​ 우리 학교 교육과정 중에 제가 좀 마음에 들지 않아하는 부분인데, 미적분이랑 확률과통계가 선택이죠. 사실 이게 예전에는 경제수학(미적분 내용)/영미 문학 읽기로 분화가 되어 선택권이 넓었으나, 지금은 미적러가 확통 수업을 들을 수 없습니다..ㅋㅋㅋㅋㅋ 그래서 저는 방학 때 통계 관련 공부를 따로 했어요. ​ 자, 잡소리 그만 하고 시작하죠. 오늘은 사회탐구방법 과목에서 주구장창 쓰이는 곡선인 정규분포곡선에 대해 알아볼 겁니다. 사실 이것 자체는 크게 중요하지 않은데, 몇 가지 중요한 성질들이 있어요. ​ **생소한 수학 기호가 많을 수 있습니다. 특히 저 함수식은 몰라도 됩니다. 그래프만 보고 넘어가세요. 식은 이해를 돕기 위한 참고용입니다. 표준정규.. 2022. 4. 19.
썸네일 언어학 탐구 프로젝트 #4: 통사론 환영합니다, Rolling Ress의 카루입니다. 말의 뜻을 구별해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가 음운이라면, 일정한 뜻(문법적/실질적)을 가진 최소 단위는 형태소라고 한다. 여기서 더 빠개면 뜻이 사라진다. 한국어를 적절히 빠갤 때, 형태소보다 잘게 나누면 뜻을 잃게 된다. 형태소는 자립성의 유무에 따라 혼자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와 다른 말과 함께 쓰이는 의존 형태소로 나뉘며, 의미에 따라선 실질적 의미를 갖고 있는 실질 형태소와 문법적 의미만을 갖는 형식 형태소로 나뉜다. ​ ...라고, 언어와 매체 글에서 정리했다. 보면 알겠지만, 자립형태소는 모두 단어다. 의존형태소에서도 조사는 단어로 취급한다(관계언). 그 외 다른 의존 형태소들은 다른 형태소와 결합하여 단어를 이룬다. 단어는 자립하여 쓸 수 있.. 2022. 3. 19.
썸네일 언어학 탐구 프로젝트 #3: 형태론 환영합니다, Rolling Ress의 카루입니다. 형태소는 의미를 가진 최소 단위를 뜻한다. 여기서 더 잘게 분해하면 고유의 뜻을 잃어버린다. 뜻이 같지만 형태가 다른 것들을 이형태라고 하는데, 이는 마치 음소(음운)-이음의 관계와 비슷하다. '가구'에서 'ㄱ'이 다르게 소리난다는 것을 잊지 말자. 우리가 구분하지 못할 뿐이다. ​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형태소는 자립형태소, 무언가와 붙어야만 존재할 수 있는 것들을 의존 형태소라고 한다. 다른 분류도 있는데, 실질적 의미를 가진 것을 실질 형태소, 문법적 의미만을 갖는 것을 형식 형태소(문법 형태소)라고 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형태소는 다른 형태소와 결합이 자유로운 데 반해 "특정 형태소"하고만 결합해서 뜻이 생기는 것들이 있다. 이런 것들을 유일.. 2022. 3. 19.
썸네일 언어학의 이모저모 (1): 언어와 사회 (ft. 속담과 문화) 환영합니다, Rolling Ress의 카루입니다. ​ 같은 책을 주제로 글을 쓰는데, '언어학 탐구 프로젝트' 글과는 다른 갈래입니다. 참고하세요. 언어와 사회는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언어를 배운다는 것은 곧 그 나라의 문화를 배우는 것이다"라는 말을 정말 많이 들었을 것이다. 당장 고양국제고에서 언어 수업과 함께 문화 수업이 자리하고 있는 것도 그러한 이유에서일 것이다. 사회적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내는 것은 속담이라고 생각한다. 당장 "매우 쉬운 일"을 여러 나라 언어의 속담으로 알아보자. ​ 한국어: 누워서 떡 먹기 / 식은 죽 먹기 영어: A piece of cake 스페인어: (Es) pan comido ​ 우리나라의 주식은 쌀이다. "떡", "죽" 둘 다 쌀로 만든다. 외국에서도 떡과 죽.. 2022. 3. 11.
썸네일 언어학 탐구 프로젝트 #2: 언어의 소리와 음운론 환영합니다, Rolling Ress의 카루입니다. 언어의 소리 언어에는 몇 가지 보편적인 특징이 있는데, 그 중 하나가 소리이다. 조음 위치에 대해 알아보겠다. 사실 국어문법 정리하면서 한 번 했는데, 국어에는 없는 소리가 있기에. ​ 양순음: 입술 소리. p, b, m과 같은 소리이다. (ㅂ, ㅁ) 순치음: 우리 말엔 없다. 입술을 살짝 깨물면서 내는 소리이다. f, v 치음: 역시 우리 말엔 없다. 영어의 th 발음이 여기에 해당한다. 치경음: 아마 이게 치조음일 것이다. 잇몸소리. t, d, n, s, z, l, r (ㅌ, ㄷ, ㄴ, ㄹ) 치경구개음: 경구개음. ㅈ, ㅊ, ch, sh 등의 소리 구개음: '히'에서 'ㅎ'의 발음이다. 독일어의 경우 ch발음. 연구개음: ㄱ, ㅋ, k, g의 발음이다.. 2022. 3. 11.
썸네일 언어학 탐구 프로젝트 #1: 언어에 대해 환영합니다, Rolling Ress의 카루입니다. ​ 언어는 상징체계 ​ 언어란 무엇인가? 언어(言語)는 생각이나 느낌을 나타내거나 전달하기 위해 사용하는 소리, 글자, 몸짓 등의 체계이다. 그렇다. 언어는 상징적인 기호 체계이다. 체계에는 규칙에 따르며, 언어도 나름의 규칙이 존재한다. 우리는 언어학을 알지 못해도 충분히 언어를 구사할 수 있다. 언어도 결국 두뇌 활동이니, 뇌를 분석하면 언어에 대해 알 수 있다 (+신경언어학). ​ * 이런 이유로, 언어학에서는 연역적 연구가 주가 된다. => 사회탐구방법론. ​ 언어학에서 input은 단어, output은 문장, processor은 문법이다. 단어는 문법을 통해 적절한 문장이 된다. 어순을 내 마음대로 바꾸면 그것은 문장이 될 수 없다. 예를 들어보.. 2022. 3. 11.
썸네일 [언어와 매체/국어 문법] 단어의 품사 (1) 환영합니다, Rolling Ress의 카루입니다. 절반 정도 쓰다가 날아갔네요. 하....내인생 단어를 몇 가지 기준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형태/기능/의미인데, 아래와 같다. ​ 형태: 형태가 변하는가? 불변어(변하지 않음) - 가변어(변함) 기능: 어떤 기능을 하는가? 체언/용언/수식언/관계언/독립언/ 의미: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명사/대명사/수사, 동사/형용사, 관형사/부사, 감탄사, 조사 ​ 모든 품사를 다 다루려면 범위를 넘어서니, 우선 체언과 용언부터 알아보겠다. ​ 체언 ​ 체언은 문장에서 몸통 기능을 하는 단어다. 주어/목적어/보어로 쓰이는 것들. 조사와 결합할 수 있고, 불변어로 분류되기 때문에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 ​ 명사는 구체적인 대상의 이름을 나타낸다. 고유명사/보통명사, 자.. 2022. 3. 9.
썸네일 [언어와 매체/국어문법] 형태소의 개념과 단어에 대해 환영합니다, Rolling Ress의 카루입니다. 말의 뜻을 구별해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가 음운이라면, 일정한 뜻(문법적/실질적)을 가진 최소 단위는 형태소라고 한다. 여기서 더 빠개면 뜻이 사라진다. 한국어를 적절히 빠갤 때, 형태소보다 잘게 나누면 뜻을 잃게 된다. 형태소는 자립성의 유무에 따라 혼자 쓰일 수 있는 자립 형태소와 다른 말과 함께 쓰이는 의존 형태소로 나뉘며, 의미에 따라선 실질적 의미를 갖고 있는 실질 형태소와 문법적 의미만을 갖는 형식 형태소로 나뉜다. ​ 자립형태소 -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의존형태소 - 조사, 어간, 어미, 접사 ​ 실질형태소 - 자립형태소 + 어간 형식형태소 - 조사, 어미, 접사 ​ 의존형태소는 대부분 형식 형태소이나, 용언의 어간의 .. 2022. 3.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