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와 매체, 국어 문법] 음운의 변동 (교체, 탈락, 첨가, 축약)
환영합니다, Rolling Ress의 카루입니다. 지난 시간에 음운에 대해 알아보았다. 오늘은 예정한 대로 음운의 변동에 대해 알아보자. 음운 변동이란 음운이 놓이는 환경에 따라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영어에서의 연음과 비슷한데, 결국은 발음을 편하게 하기 위해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그리고, 복잡하게 생각할 것 없이 우리는 이것들을 이미 익히고 있다. 그걸 파헤쳐보자. 교체란, 한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뀌는 것을 말한다. 교체의 종류엔 음절의 끝소리 규칙, 동화(자음동화, 모음동화, 구개음화), 된소리 되기가 있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 - 음절의 끝에서는 ㄱ/ㄴ/ㄷ/ㄹ/ㅁ/ㅂ/ㅇ 일곱 개의 자음만 발음되며, 다른 자음은 이들 중 하나로 바뀌어 소리가 난다. "가느다란물방울"로 외우면..
2022. 3. 7.
[언어와 매체, 국어 문법] 음운과 자음/모음,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에 대해
환영합니다, Rolling Ress의 카루입니다. 음운은 말의 뜻을 구별해주는 소리의 가장 작은 단위다. 자연의 소리는 음향, 물리적인 말소리는 음성, 음성을 추상화한 것이 음운이다. 물리적인 소리는 조금씩 다르지만, 같은 음운은 다른 음성으로 구현되더라도 청자는 같은 음운으로 듣고 이해한다. 음운은 분절 음운과 비분절 음운으로 나뉘는데, 분절 음운은 나눌 수 있는 것들, 자음과 모음이 속한다. 비분절 음운은 강약(세기), 장단(길이), 고저(높낮이) 등이 있다. 이중에서 장단의 경우 단어의 첫 음절에서 소리의 길이가 달라진다. 자음은 목청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에 장애가 "생길 때" 발생하는 소리다. 공기의 흐름이 방해받는 자리를 조음 위치, 소리를 내는 방법을 조음 방법이라고 한다. 조음 ..
2022. 3. 7.
함숫값이 없어도(불연속) 미분이 가능할까? (ft. 극한, 연속, 미분의 개념)
환영합니다, Rolling Ress의 카루입니다. NOCHES 글이긴 한데, 제 탐구 일지이므로 반말로 쓸게요. "미분 가능하면 연속이다" 라는 명제가 있다. 물론, 이 명제는 참이다. 이 명제를 대우시키면, "불연속이면 미분 불가능하다"가 된다. 명제의 대우이므로, 이 역시 참이다. 그런데, 정말 불연속이면 미분이 불가능할까? 그렇다면, '연속'과 '미분'의 정의를 다시 짚어보자. 함수의 연속 고등학교 교육과정상에서는 '좌극한 = 우극한 = 함숫값'이 성립할 때 그 함수를 연속이라고 칭한다. 더 정확하게 하자면, 이 식이 성립하면 함수 f(x)는 x=a에서 연속이다. 자, 그런데. 고등학교 교육과정상에선 극한을 애초에 엉터리로 정의한다. '한없이 다가가는' 따위의 이상한 표현을 쓰기 때문..
2022. 2. 18.